분자당 탄소 원자가 16개 이상인 지방 알코올을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 합성에 사용하면, 생성된 생성물은 물에 매우 낮은 농도, 일반적으로 DP 1.2~2의 농도로만 용해됩니다. 이하, 이들을 수불용성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라고 합니다. 이러한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는 긴 알킬 사슬로 인해 비극성 특성이 지배적입니다. 이들은 계면활성제로 사용되지 않으며, 주로 화장품 제형의 유화제로 사용됩니다.
포도당과 도데칸올/테트라데칸올의 관찰된 반응은 세틸/옥타데실 폴리글리코사이드와 같은 수불용성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의 합성에 널리 적용될 수 있습니다. 산 촉매 반응은 공급 원료 간의 유사한 온도, 압력 및 몰비에서 진행됩니다. 그러나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이러한 생성물은 수성 페이스트로 정제 및 표백하기가 더 어렵습니다. 반응 단계 직후에 함량이 낮고 색상이 밝은 생성물을 생산하여 추가 처리가 필요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장 중요한 원치 않는 부산물은 폴리글루코스입니다. 폴리글루코스는 황갈색을 띠어 색상이 크게 손상됩니다. 또한, 폴리글루코스의 농도가 높으면 온도 상승에 따라 폴리글루코스가 매우 빠르게 분해되는 경향이 있어 증류를 통해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이는 궁극적으로 성능 저하로 이어집니다.
폴리덱스트로스 생성 속도는 반응 종료 시점에 가까워질수록 크게 증가하므로, 온도를 낮추고 촉매를 중화시켜 포도당 전환율이 약 80%에 도달했을 때 반응이 조기에 종료됩니다. 균일하고 재현성 있는 제품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온라인 분석을 통해 전환 과정을 정확하게 추적합니다. 반응 종료 시, 미반응 포도당은 부유 고형물로 존재하며, 후속 여과를 통해 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포도당을 제거한 후, 생성물에는 약 1~2g의 폴리덱스트로스가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매우 미세한 입자 형태로 유화됩니다. 적절한 여과 보조제를 선택하면 두 번째 여과 단계에서 폴리덱스트로스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 공정을 통해 15~30%의 장쇄(C16/18)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와 85~70%의 지방 알코올(C16/18-OH)을 함유하는 실질적으로 글리코오스와 폴리덱스트로오스가 없는 제품이 얻어진다. 이 제품은 높은 녹는점을 가지므로 일반적으로 플레이크 또는 펠릿 형태의 고체로 판매된다.
많은 화장품 로션에 동일한 알코올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농도의 장쇄 알코올은 허용 가능합니다. 따라서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는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지방 알코올로 직접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비교적 최근의 수불용성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는 약 500%의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와 500%의 지방 알코올을 함유합니다. 이 경우, 지방 알코올의 일부는 진공 증류를 통해 제거되고, 온도와 체류 시간을 최대한 낮게 유지함으로써 열분해를 억제합니다. (그림 7) 이러한 농축 제품 유형은 수불용성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의 적용 범위를 크게 확대합니다.
게시 시간: 2020년 10월 18일